본문 바로가기

# 01

네트워크 교실-4 주소와 경로MAC주소는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의 수신처를 결정하고, IP주소는 수신처의 컴퓨터를 결정한다. IP주소가 데이터의 최종 수신처가 되고, MAC 주소가 그 다음에 정의되는 수신처가 되는 것(MAC 주소가 '다음으로 보낼 장소'를 지정). > MAC 주소로 '다음 수신처'를 지정하고 IP주소로 '최종 수신처'를 지정해서 최종 수신처까지의 경로가 만들어짐.(MAC주소는 계속 바뀜)라우터가 이 경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라우팅에서 홉 이란 라우터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라우터가 네트워크 경계상에 배치 되어서 전송받은 데이터그램을 라우팅해서 다음 수신처를 결정하는 것임. > 라우터가 없으면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낼 수 없다. > 컴퓨터가 지정하는 라우터를 '디폴트 게이트웨이(Default Gat..
네트워크 교실-3 1계층은 전기적인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상대에 대한 신호전달'. 신호를 운반 하는 것.2계층은 '신호 송수신 가능한 상태'에서 세그먼트 내에서 어떻게 데이터를 주고 받는지'에 대한 것. 신호가 운반된다는 전제하에서 컴퓨터나 기기 간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것임. 신호를 제대로 송수신하기 위한 순서를 생각. 신호를 데이터로서 수신하거나 충돌방지. > 상위계층은 하위계층을 생각하지 않는다. 하위인 1계층은 상위 계층인 2계층을 위해 일하는 것! 3계층은 세그먼트 간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것. 이것의 범위를 '네트워크'라고 한다. > 네트워크 - 라우터와 라우터로 분배된 컴퓨터 그룹. 네트워크 내의 컴퓨터 끼리는 2계층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멀티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 ..
네트워크 교실-2 1계층의 역할 - 케이블(파이프)이 연결되어 있는 기기에 신호를 전달하는 것. 수신처에 데이터를 전달. > 2계층 부터 상위계층은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어떤것을 할지', '데이터가 도달한 뒤에 어떤것을 할지'를 생각하는 것이다. 1계층이 정하는 것 - 컴퓨터와 케이블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케이블의 잭과 인터페이스 쪽의 삽입구의 형태, 비트를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등), 보내지는 데이터인 '신호'(신호의 종류, 신호의 형태 등), 신호가 지나가는 '케이블'(재질, 구조 등) 유선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 전기신호를 사용하는 동선과 광신호를 사용하는 광파이버가 있다.(둘다 많이 사용하지만 일반 가정이나 기업에서 보는 것은 동선케이블) UTP(Unshielded Twist Pair cable) -..
네트워크 교실-1 Network - 망(Net)과 작업하다(Work). 점을 '노드(Node)', 선을 '링크(Link)'네트워크란 무언가와 무언가가 무언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연결과 주고받기가 네트워크 컴퓨터 네트워크 - 컴퓨터와 컴퓨터가 그물망처럼 통신 매체로 연결되어서 데이터를 운반하는 것 리소스 - 자원이라는 뜻. 파일등의 데이터나 프린터 등의 기기, 컴퓨터나 메모리, CPU 등도 포함하는 개념.복수의 컴퓨터에서 리소스를 공유한다. 리소스를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 공유하는 것이 바로 네트워크의 장점. 데이터 통신 - 컴퓨터가 가진 리소스를 서로 주고받음으로써 공유. 주고받는 정보는 비트로 표현(0 or 1)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기기와 프로토콜이 필요. 인터페이스 - 2개의 서로 다른 시스템 사이에..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구조-6 7. 무정지를 위한 인프라 구조 7.1 안정성 및 이중화 7.1.1 안정성이란? 안정성, 고가용성이란, 시스템 서비스가 가능한 한 멈추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목표- 고장, 장애에 의한 정지가 발생하지 않을것- 고장, 장애가 발생해도 복구할 수 있을것- 고장, 장애가 발생한 것을 검출할 수 있을것- 고장, 장애가 발생해도 데이터가 보호될것 실험수단- 컴포넌트 이중화- 컴포넌트 감시- 데이터 백업 7.1.2 이중화란? 하나의 기능을 병렬로 여러 개 나열해서 하나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것을 이용해서 서비스를 계속할 수 있는것을 가리킨다. 하나의 기능이 병렬로 가동되기 때문에 이런 고가용성에 대한 의미뿐만 아니라 확장성이나 부하분산 같은 성능에 대한 의미도 가진다. 시스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구조-5 5. 인프라를 지탱하는 응용 이론 5.1 캐시 5.1.1 캐시란? 캐시는 cache 숨기는 장소라는 의미가 있다. 사용빈도가 높은 데이터를 고속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위치에 두는 것을 의미한다. CPU의 1차 캐시나 2차 캐시, 저장소 캐시, OS 페이지 캐시, 데이터베이스 버퍼 캐시, KVS(데이터를 메모리에 캐시하는 것) 등 광범위하게 캐시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캐시는 임시 저장소를 의미한다. 캐시의 특징- 일부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 위치와 가까운 지점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데이터 재사용을 전제로 한다. 5.1.2 어디에 사용되나? 브라우저 캐시는 웹 브라우저가 접속한 페이지를 캐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웹 서버 접속을 줄이고 브라우저 표시를 고속화할 수 있다.웹 서버 자체 부하를 줄이는 다른 ..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구조-4 4. 인프라를 지탱하는 기본이론 4.1 웹 데이터 흐름 4.1.1 직렬/병렬 이란? PC에 여러개의 CPU가 탑재되있다. CPU수가 늘어난 배경에는 소비전력과 발열 문제가 있다. CPU 제조사가 클럭속도를 올리는 대신에 코어 수를 늘려서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방침을 전환했기 떄문이다. CPU라는 미시적인 관점에서 시스템 전체라는 거시적인 관점으로 눈을 돌리면 대규모 웹 서비스에서는 방대한 수의 사용자 요청을 처리해야 하므로 수많은 서버를 배치해서 병렬로 처리하고 있음을 알 수있다. 이처럼 주변에는 병렬 처리가 넘쳐나고 있지만, 무조건 병렬화한다고 해서 성능이 향상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CPU 코어나 서버를 병렬화 할 떄는 병렬화한 하드웨어를 놀리지 않고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할지가 중요하다. 여..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구조-3 3. 3계층형 시스템을 살펴보자 사용자가 가장 많이 접하는 부분은 '데이터'다. 3계층형 아키텍처를 주축으로, 시스템이 처리하는 데이터와 시스템 상에서의 데이터 흐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3.1 3계층형 시스템의 구성도 웹서버, AP서버, DB서버가 있다. 각 서버는 DVD 플레이어와 같이 생겼다. 세 대의 서버는 스위치를 경유해서 연결돼 있다. 각각의 서버를 확대해서 보면 CPU, 메모리, 디스크, NIC/HBA 같은 하드웨어 부품이 나열돼 있다. 이들은 물리장치이다. 3.2 주요 개념 설명 3.2.1 프로세스와 스레드 프로세스 및 스레드는 프로그램 실행 파일 자체가 아니라 OS 상에서 실행돼서 어느 정도 독립성을 가지고 동작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책이 '사람 모양'으로 표현하고 있듯이, 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