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01/네트워크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구조-6

반응형

7. 무정지를 위한 인프라 구조


7.1 안정성 및 이중화

7.1.1 안정성이란?

안정성, 고가용성이란, 시스템 서비스가 가능한 한 멈추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목표
- 고장, 장애에 의한 정지가 발생하지 않을것
- 고장, 장애가 발생해도 복구할 수 있을것
- 고장, 장애가 발생한 것을 검출할 수 있을것
- 고장, 장애가 발생해도 데이터가 보호될것

실험수단
- 컴포넌트 이중화
- 컴포넌트 감시
- 데이터 백업

7.1.2 이중화란?

하나의 기능을 병렬로 여러 개 나열해서 하나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것을 이용해서 서비스를 계속할 수 있는것을 가리킨다. 하나의 기능이 병렬로 가동되기 때문에 이런 고가용성에 대한 의미뿐만 아니라 확장성이나 부하분산 같은 성능에 대한 의미도 가진다. 
시스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기능을 이중화 하는 것이다. 상용 시스템에서는 모든 컴포넌트를 이중화 한다. 이중화를 할 때는 구체적으로 어떤 구조가 필요할까? 
부하분산
내부적 생존감시
마스터 결정
페일오버 -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

7.2 서버 내 이중화

7.2.1 전원, 장치 등의 이중화

일반적인 서버 내부 컴포넌트에는 전원, 팬 등이 이중화 되어 있다. 이들 중하나가 망가져도 서버가 정상 가동하도록 설계돼 있다. 
랙 뒤쪽의 양 끝에는 전원 탭이 붙어 있다. 양 끝에 있는 이유는 이중화 때문이다. 

웹서버에 요청을 던져서 AP 서버나 DB 서버를 거쳐서 응답까지 돌아오기 까지가 응답시간

병목현상이란
- bottle neck 병의 목 부분이 좁기 때문에 아무리 다른 부분이 넓더라도 흐르는 수량은 목의 두께에 의해 제한된다. 이 때 목부분이 병목지점(병목현상이 발생하는 위치)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