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03/프로토콜

용어정리

반응형

트래픽 - 호스팅에서의 일반적인 의미는 데이터 전송량


대역폭(bandwidth) - 일반적으로 통신에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능력, 즉 최대전송속도


패킷 - 네트워크가 전달하는 데이터의 형식화된 블록. 제어 정보와 사용자 데이터로 이루어짐.


프레임 - 게임이나 스트리밍에서 화면에 뿌려지는 정지 영상의 낱장을 뜻함. 영상 정지 이미지. 초당 몇 번의 움직임을 잡아내는 가를 나타내는 단위로도 쓰임. (1초당 정지화면 몇 개 출력하는지, 보통 최소한의 기준점 초 당 24-30프레임)


프레임 드롭 - 영상 입출력이 되지 않는 프레임이 생기는 것. 영상 입출력 시에 하드디스크의 읽기/쓰기 속도나 엠펙의 소프트웨어 디코더의 처리 속도가 영상의 진행을 뒤따르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 제이펙용 이동 코덱을 사용하여 동영상 편집을 할 경우 압축률을 높임으로써 프레임 드롭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때 화질이 나빠지기 때문에 하드디스크를 최적화 하거나 보다 고속의 하드디스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코딩 - 기본적으로 영상, 소리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을 압축, 변환해주는 것


디코딩 - 영상을 보거나 소리 등을 재생할 때 코덱이 압축된 데이터를 해석해서 보여주는 것


라이브 스트리밍 - 소리나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인코딩해 사용자들에게 서비스 한다.


VOD 스트리밍 - 소리나 동영상을 파일형태로 제작하여 사용자들의 요청에 의해 서비스 한다.


Bitrate(비트레이트) - 1초에 해당하는 동영상에 얼마의 비트(bit) 수가 들어갔는지를 의미한다. 비트레이트가 높을 수록 고화질의 동영상이며 CBR과 VBR방식으로 나뉘어 진다.


CBR(Constant BitRate - 고정비트레이트) - 처음부터 끝까지 고정된 비트레이트를 사용해 압축한다. 보통 VCD(Vid eo CD)의 경우 초당 1150kbit를 사용해서 모든 프레임을 압축한다. 장점은 인코딩 시간이 짧고 단점은 고정된 비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움직임이 많은 경우 화질저하가 생겨 스포츠나 액션영화 등에는 사용이 부적절하다.


VBR(Variable BitRate) - 세가지 방식으로 나누어 압축을 행하는데 Average(보통), Max(최대), Min(최소)로 구분된다. 평상시에는 보통의 비트를 사용하다가 움직임이 빠르면 최대 비트를 사용하고 움직임이 없는 곳에서는 최소 비트만을 사용해 압축한다. CBR에 비해 작은 용량에 더 좋은 화질을 만들어 내므로 더 효율적이지만 압축할려는 비디오 전체를 읽고나서 압축을 진행하기 때문에 압축시간이 2배 이상 걸리는 단점이 있다.


adaptive bitrate - 사용자의 bandwidth 환경을 스스로 인지하여 그에 맞는 스트리밍을 자동으로 보내주는 기술

데이터그램 - 패킷 교환망에서 취급되는 패킷의 일종. 다른 패킷과는 독립으로 취급되며, 발신 단말에서 수신 단말에 이르는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내부에 포함하는 패킷. 예를 들면, 동일 발신자, 수신자 사이에 통신로를 설정하는 것도 하지 않는다.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단위. TCP에서는 세그먼트(Segment)라고 부르고, UDP에서는 데이터그램(Datagram)이라고 부른다.


코덱 - codec은 어떠한 데이터 스트림이나 신호에 대해, 인코딩이나 디코딩, 혹은 둘 다를 할 수 있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일컫는다. 또, 이를 위한 알고리즘을 가리키는 용어로도 쓰인다. 전기 통신분야의 용어로는 디지털 회신, 곧 송수신 장치를 뜻하였으며, "부호기", "복호기"를 합쳐 불렀다. 코덱에는 데이터 압축 기능을 사용하여 자료를 압축하거나 압축을 푸는 소프트웨어나, 소리, 동영상 등의 자료를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장치 및 소프트웨어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코덱 이라고 하면 영상, 음향등 미디어 정보를 압축하는 기술을 가리킨다.


클라우드 -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중앙컴퓨터에 저장해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것.(ex. naver클라우드)


디버깅 - 컴퓨터 프로그램의 정확성이나 논리적인 오류(버그)를 검출하여 제거하는 과정을 뜻함.


플랫폼 -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특정 프로세서 모델과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을 바탕으로 하는 운영체제를 말함. 예를 들면, MS-DOS상에서 동작하는 DOS가 플랫폼이며, MS-Windows상에서 동작하는 응용 소프트웨어에 있어서는 MS-Windows가 플랫폼이다. 또 어떤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환경을 플랫폼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MS-Windows가 제공하는 환경이 MS-Windows의 플랫폼이다. 


키프레임 -초기의 영상 코덱은 화면 한장 한장을 jpeg 처럼 이미지 파일로 압축하여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 하였습니다. 이런방식은 구현하기 매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화면이 전혀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도 많은 데이타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압축율을 높이기가 쉽지 않게 됩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mpeg  코덱부터는 영상의 변화율을 감지하여서 변화된 부분의 데이타만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압축 효율을 높이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러한 방식의 문제점은, 데이타가 화면의 변화된 내용만을 담고 있으므로 동영상 재생시 중간으로 점프하고자 할 경우 처리가 매우 어려워 지기 때문에 중간 중간에 키프레임이라는 영상의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는 부분을 만들어 두는 방식을 사용하게 됩니다. 보통의 경우 키프레임은 5~10초에 하나씩 만들게 되며 특수한 경우 1초 정도로 짧게 설정하여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 키프레임의 짧게 설정하면 탐색시 유리하지만, 용량대비 화질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

반응형

'# 03 > 프로토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utomated Objec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 of HTTP Adaptive Streaming Systems  (0) 2019.02.05
MPEG DASH  (0) 2019.02.05
HLS  (0) 2019.02.05
HDS  (0) 2019.02.05
MPEG DASH: A Technical Deep Dive and Look at What’s Next  (0) 2019.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