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Java
[윤성우의 열혈자바] 3-1. 상수(Constants)
장딴지연
2019. 10. 18. 11:36
반응형
int a = 3 + 4;
이라고 선언 했을 때, 3, 4 가 메모리에 저장 된 다음 덧셈 연산을 하게 된다.
이때, 3, 4는 상수이다. 리터럴.
정수는 무조건 int 형으로 인식한다.
상수는 대문자로 보통 작성하는 것이 관례이다.
System.out.println(3147483647 + 3148486531);
컴파일시 Integer number too large 라는 오류 메시지를 전달한다.
System.out.println(3147483647L + 3148486531L);
l 또는 L을 붙여서 long 형 상수로 표현해 달라는 요청을 해야 한다.
byte seven = 0B111;
int num205 = 0B11001101; // 2진법 표현
int num = 100_000_000;
언더바 삽입 가능!!
이스케이프 시퀀스
'\b' 백스페이스 문자
'\t' 탭 문자
'\\' 백슬래시 문자
'\'' 작은따옴표 문자
'\"' 큰따옴표 문자
'\n' 개 행 문자
'\r' 캐리지 리턴 문자
System.out.println("AB" + '\b' + 'C'); // AC
System.out.println("AB" + '\t' + 'C'); // AB C
System.out.println("AB" + '\n' + 'C'); // AB
// C
System.out.println("AB" + '\r' + 'C'); // CB
반응형